코더

예전에 한 대기업 주재원분과 짧게 이야기 나눈적이 있었다. 내가 박사후에 계속 개발일 하고 있다고 했더니 <예? 코더요?> 하며 약간 그분 눈이 커진것을 놓치지 않았다. 도대체 코더가 어떻길래, 저 반응은 어떤 뉘앙스일까 살짝 마음에 걸렸다. 1년마다 다시 돌아오는 <잡스는 커녕!> 뉴스기사를 보고 그게 어떤 의미인지 조금 더 명확하게 다가왔다. (뉴스 기사)

기사의 도입부는 이렇다. “지난 6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공과대학에서 만난 하순회 컴퓨터공학부 학과장은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고급 개발자 양성이 가장 중요한데도 현재는 부족한 개발자 인력을 채우기 급급해 ‘프로그래머’만 양성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여기서 하 학과장이 언급한 프로그래머란 단순 코더(Coder)에 가깝다. 고급 개발자가 프로그램 전반을 기획하는 설계자라면, 코더는 이를 실현하는 시공자에 해당한다.”

일단은 기사의 의도 자체가 <학교에 돈 좀 줘…제발> 인것은 기사에 쓰인 <공과대학 전경>이미지를 보면 알수있다 (골라도 저런 사진을…) 그렇다해도 코딩하는것을 천직으로 여기고 사는 나같은 사람은 이 기준으로 그럼 고급이냐 단순이냐 의문이 들수밖에 없다. 나뿐 아니라, 존경해 마지않는 <제프딘> <제임스고슬링> <크리스라트너>… 이 사람들은 분명히 고급일텐데 아직도 코딩을 하니, 이 비유대로라면 세계적인 건축 디자이너가 현장에서 공구리치고 있다는 얘기잖아?

문제는 소프트웨어를 <설계>한다고하니 자꾸 건축업계에서 메타포를 가져와 설명하려는데있다. 설계와 시공이 분리되어있고 고급진(?) 사무직과 현장직이 분리된 산업을 비유해 설명하니 자꾸 이 직업이 오해를 받는다. 내가 아는 뛰어난 개발자들은 모두 실제로 코딩한다. 처음 커리어를 시작할때도 그렇고 나이와 명성이 쌓인후에도 마찬가지다. 제프딘과 Sanjay의 협업에 대해 소개한 New Yorker 최근 기사는 구글의 탑레벨 임원인 그들이 매일 코딩한다는것을 잘 보여준다. 최근에 나는 회사를 옮기며 인터뷰를 했는데, 경력 10년에 어느정도 규모의 팀을 매니지했던 이전 역할과 상관없이 가혹한 코딩테스트를 거쳤다. 10년, 20년차의 경력만 내세우고 코딩을 소홀히 한 사람들은 <쏘리 쏘리> 연발하다 인터뷰를 마치기 십상이다.

그럼 프로그래머를 설명할 적당한 다른 직업은 없을까? 나는 개발자는 연예인에 좀 더 가깝다고 생각한다. 가수는 무대에서 노래를 불러야 가장 빛나듯이 개발자는 컴퓨터앞에서 코드와 싸울때가 가장 어울린다. 나이가 들어 무대뒤에 숨어서 후배들만 가르치려드는 가수보다는 계속 무대에 나와 조금 더 잘 하려고 애쓰는 사람을 아티스트라는 말로 표현한다. 아침마당에 나와 유연하게 허리 돌리는 사장님 박진영과 비의 퍼포먼스는 나이든 개발자가 지향해야 할 모델이다. 폴그레이엄은 에세이에서 개발자를 화가에 비유하기도 했다. 미술관의 주인공은 큐레이터가 아니고 아티스트인것을 잊지않았음한다.

기사에서는 고급개발자를 <양성>할수 있다고 주장했다.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능력의 차이가 실제 크게 존재한다. 한때 10x 엔지니어라는 말이 유행했는데, 일반과 고급의 성능차이를 10배로 추정한다는 뜻이다. 나는 내 경험을 토대로 고급개발자의 조건을 세가지로 요약하려한다.

  1. 코딩이 뛰어나다면

코딩을 잘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대충 경험상 네명중 한명정도 잘한다. 코딩은 엔지니어링 프로세스의 가장 중요한 한 부분이고, 좀더 넓게 표현하면 문제해결능력이 고급개발자의 조건에 가깝다. for-loop, if/else 등의 로직 연산으로 구성된 코딩은 사실 사람이 매일 수행하는 연산이다. 그래서 쉽게 보여 뛰어들수 있지만 일단 시작하면 죽을때가지 마스터할수 없는 수행의 길이다. 이 고난의 길에서 탁월한 기량을 보이는 사람은 두가지 정도로 나뉠수 있다. 첫째는 타고난 지능이다. 지금까지 학교졸업하고 막 직업전선에서 코딩을 시작한 여러명의 주니어들이 성장하는것을 지켜봤다. 그 과정에서 부인할수 없는것은 어떤 사람들은 불공평하게 똑똑하다는것이다. 브레인 자체의 배기량이 커서 한번에 처리하는 복잡도의 양이 다르다. 세상은 불공평하고 나 역시 불공평한 세상에 선택받지 못한자로 태어났다. 하지만 아직 찬스가 남아있는것은 두번째 이유 때문이다.

두번째 자질은 문제해결을 즐기는 사람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 문제들은 괴로운 것이고 월급이라도 받아야 간신히 참여하는 노동인데 어떤 사람들은 그 과정 자체를 즐거워한다. 사실 똑똑한 것과 즐기는 것은 그 둘사이에 크게 연관성이 없다. 배기량이 조금 부족한 차를 몰아도 운전하는게 즐거워 매일 드리프트하다보면 배기량 큰차와 레이싱 붙어도 꿇리지 않는다. 내가 조립해놓은 생각의 조각들이 서로 맞물려 한치의 오차없이 돌아가는것을 지켜보는것은 세상에서 가장 즐거운 일중 하나이다. 나는 이번에 회사를 이직했는데, 지난주 회사를 나오며 약 반년간 작업한 결과물을 런치했다. 스케줄이 밀려 마지막날 금요일에 버튼을 눌러야했는데, 동료들에게 이걸로 나는 회사의 <레전드> 아니면 <빌런>으로 남을거라며 웃었다. 높은 확률로 서버가 터질수 있고 그 경우 회사의 매출에 직격탄을 맞는 백엔드 작업이다. 다행히 난 <레전드>로 마무리할수 있었다. 그 이유는 마지막날 새벽 3시까지 근심어린 눈으로 서버 그래프를 지켜볼 정도로 나는 이 문제를 내것으로 여기고 좋아했기 때문일것이다.

  1. 태도역시 겸손하다면

꽤 오래전 스타트업 직장에 정말 뛰어난 개발자 친구 C가 있었다. 수십만 라인의 코드를 몇달만에 만들어내는 어려서부터 코딩한 타고난 해커다. 제품 첫 버전의 거의 70%정도를 C 혼자 작성했다. 내가 처음 들어가 그 친구 코드의 이해안가는 부분을 질문했을때 흔쾌히 설명해준 다음 자신의 구현이 경쟁자에 비해 얼마나 빠른지 그래프까지 보여줬다. 경쟁 오픈소스 제품에 대해 설명할때면 다소 경멸띤 표정으로 얼마나 자신의 구현이 우월한지 설명하곤했다. 그런데 경쟁 제품이 시장에서 인기를 더 얻기 시작했다. 회사는 버전 2를 만들어야했고 가장 중요한 부분은 역시 C군에게 맡겨졌다. 다른 개발자들에겐 그 문제가 너무 어려울거라 생각했는지 C군은 문제를 독점했다. 그게 문제의 시작이었다. 버전 1에 비해 훨씬더 복잡한 스펙을 요구했던 버전 2는 C군에게도 버거운 문제였다. 하지만 그는 도움을 청하지 않았고 버전 2는 계속 지연됐다. 나중에는 문제가 지겨워졌는지 아프단 핑계로 한동안 회사에 나오지도 않아 그당시 우리 VP는 치킨누들수프를 끓여서 그 친구집으로 배달을 가곤했다. 스케줄보다 1년넘게 지연된 버전 2는 나온 후에도 버그 투성이였다.

코딩이 뛰어난데 겸손한 개발자 찾기는 정말 쉽지 않다. 어느정도 규모있는 팀에서 일하는 사람은 무슨 의미인지 알것이다. 경험상 두명중 한명꼴로 본받을만한 겸손함을 갖고있었다. 뛰어난 개발자는 높은 비율로 똑똑하기 마련이고 어려서부터 똑똑했던 사람에겐 겸손이 어려운 문제다. 하지만 똑똑한데 오만한 개발자는 팀에 있어서 독과 같다. 디자인, 코드 리뷰를 할때면 어느 순간 브레인의 배기량 자랑으로 변해버려 상대를 짓눌러버릴 방법을 찾는다. 오만한 시니어가 주도하는 팀은 각자도생하는 정글로 변해버린다. 정말 뛰어난 개발자는 혼자서 버전 1은 만들어낼수 있다. 하지만 궤도에 올라간 프로덕트를 우주로 끌어올리는건 팀이 함께 푸쉬하는 힘이다. 그리고 그팀을 만들어내는건 코어에 있는 능력을 겸손한 말로 전달하는 리드다. 겸손함의 핵심은 상대방과 팀을 돕기위해 자신을 내어주는 것이다.

  1. 그런데 커뮤니케이션도 잘하면

훌륭한 코딩에 겸손함을 갖추고 있는 개발자가 주위에 있는지 생각해보라. 혹시 그 사람이 팀에 미치는 영향력이 생각보다 작다면 마지막 조건에 미달하기 때문일것이다. 커뮤니케이션과 코딩능력은 정말로 어울리지 않는 상극과 같은 조건이다. 왜 그런지는 나도 잘 모르겠다. 주변에 코딩 정말 잘하는데, 자신의 문제를 비지니스에 연결지어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 생각해보라. 경험상 세명에 한명 꼴로 개발자의 커뮤니케이션이 좋았다. 야후의 Marisa Mayer는 이렇게 얘기했다.

“Beyond basic mathematical aptitude, the difference between good programmers and great programmers is verbal ability.” – Marissa Mayer

“기본적인 수학능력 이외에 괜찮은 프로그래머와 뛰어난 프로그래머의 차이는 말하는 능력이다”

나는 지난 몇년간 매니저 역할을 하면서 수도없이 많은 미팅을 했다. 사실 매니저 시작하며 제일 부담스러웠던건 내 떨어지는 영어실력과 발음이었다. 하지만 몇달 지나고나서 내 걱정은 기우였다는 것을 알았는데,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들도 말을 엄청못한다는걸 깨달았기 때문이다. 1:1 미팅하면서 지금 해결하는 문제에 대해 질문하면 눈을 잘 못 마주치며 우물대는 사람도 있고, 전달해야 할 내용을 요약을 못해 코드 레벨 하나하나 다 설명해야 하는 사람도 있다.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것은 말을 많이하는것이 아니다. 어떤 친구들은 말하는 것을 너무 좋아해 정보에 시그널 대비 노이즈가 너무 많다. 커뮤니케이션이 좋은 사람은 상대방에게 필요한 정보를 정황 (context)속에서 빨리 캐치해내고 상대의 언어로 해석해서 전달한다. 개발자와 PM/마케팅같은 비 개발자가 모이는 미팅에서 개발자가 사용하는 단어 하나하나를 유심히 살펴보라. 외계언어로 이야기하는 개발자에게 미소를 짓는 마케팅 부서 직원은 <이 외계인이 또…> 속으로 생각할런지 모른다.

코딩 잘하는 사람이 1/4, 겸손한 사람이 1/2, 마지막으로 커뮤니케이션 잘하는 사람이 1/3 비율로 존재한다면, 이 세가지를 모두 갖춘 사람은 1/24 비율이다. 이렇게 찾기 어려우니 고급 개발자인게 맞다. 그런데 이 세가지 조건중에 학교에서 양육할수 있는것은 무엇인지 생각해보라. 겸손을 학교에서 배울수 있을까? 다양한 직종의 사람들 틈사이에서 배워가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어떨까? 코딩의 영역 역시 학교는 정글에서 살아남는 도구 쓰는 능력을 가르칠뿐 실력 자체를 만들어주지는 못한다. MIT, 스탠포드, 아이비리그 학교의 졸업생들 많이도 일해봤지만, 흔히 이야기하는 학교의 네임밸류와 실제 코딩 능력은 크게 연관성이 없었다. 뛰어난 리더는 양육되는게 아니다. 혹시 가능하더라도 최소한 양육하는 스승이 뛰어난 모델이어야 하지않을까? 누군가가 <교수는 졸업하지 않기로 마음먹은 학생>이라고 이야기했는데…

코딩, 겸손, 커뮤니케이션을 마스터한 뛰어난 리더는 살면서 그렇게 하기로 스스로 깨달은 사람들이다.

https://twitter.com/sm_park

코더”에 대한 14개의 생각

  1. 특히 마지막 단락이 정말 마음에 듭니다. 학교가 가르 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과 실제로하는 것 사이에 불일치가있는 것 같습니다. Bryan Caplan 은 그들이 가르 칠 수 있고 학생들이 기억하게 될 것들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학교를 광범위하게 재조정하는 것에 관한 훌륭한 책을 썼습니다. 여기서 간단한 리뷰를했습니다 https://natehanrahan.substack.com/p/hey-teacher-leave-them-kids-alone .

  2. 코딩, 겸손, 커뮤니케이션을 마스터한 뛰어난 리더는 살면서 그렇게 하기로 스스로 깨달은 사람들이다. 지금이라도 이 글을 보고 느끼는바가 있음을 스스로에 칭찬하고 글쓴이에 감사드립니다.

  3. 그동안 개발자로 일하고 살면서 생각하는점을 너무 깔끔하게 정리해주셔서 공감가며 한 번 더 생각해보게 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댓글 남기기